Lucky Charms Clover

🖥️ CS & Network & Web/🕸️ Network

🖥️ CS & Network & Web/🕸️ Network

[Network] 8. 네트워크 접속 장치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는 웹/HTTP/네트워크를 읽고 정리합니다.] 라우터 라우터란? LAN: 가정집이나 회사같은 소규모 네트워크 WAL: LAN이 모인 네트워크 이전에는 LAN 안에서 통신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했지만, 인터넷이 발달하고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지면서 흩어진 LAN을 연결하고 다른 LAN으로 데이터가 올바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돕는 '중간 장치'가 필요했다. => 라우터(router) 라우터는 데이터가 원하는 목적지로 원활하게 도착할 수 있도록 적절한 통신 경로를 안내하는 장치 공유기가 라우터의 역할을 함 (외부에서 들어오는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WAN 연결부에 인터넷 케이블 연결 > 라우터 기능) 가정용 라우터 외에도 인터넷 제공 업체에서 관리하는 라우터, 기업용 라우터 등 다양한 종류의..

🖥️ CS & Network & Web/🕸️ Network

[Network] 7. HTTP 특징과 데이터 저장 방식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는 웹/HTTP/네트워크를 읽고 정리합니다.] HTTP = Statelss protocol HTTP는 이전 요청과 응답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서 따로 저장하지 않는 무상태 프로토콜이다. 어떤 상태든 상태와 관계없이 지금 들어온 요청에 대한 응답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모든 응답과 요청은 독립적이다. 무상태 프로토콜로는 HTTP, IP, UDP가 대표적이다. 반대로 상태 프로토콜도 존재한다.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토콜로, 상태에 따라 서버의 응답이 달라질 수 있다. 각 패킷의 전송 상태를 파악하고 신뢰성을 보장하는 TCP가 대표적이다. 무상태 프로토콜의 장점은 서버의 상태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 서버를 단순하게 설계할 수 있고, 통신이 갑자기 끊어졌을 때 남겨진 상태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

🖥️ CS & Network & Web/🕸️ Network

[Network] 6. HTTP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는 웹/HTTP/네트워크를 읽고 정리합니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HTML같은 하이퍼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만 통신할 수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다양한 형식도 전달할 수 있다. HTTP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따른다. 이는 서로 관계를 맺고 있는 컴퓨터가 클라이언트, 서버 2가지 역할로 구분되어 있다는 뜻으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그에 대해 응답하는 구조를 말한다. 요청하고 응답하는 과정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HTTP 메세지를 주고 받으며 통신한다. 이 HTTP 메세지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하는 요청 메세지,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하는 응..

🖥️ CS & Network & Web/🕸️ Network

[Network] 5. TCP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는 웹/HTTP/네트워크를 읽고 정리합니다.] TCP 인터넷 통신을 담당하는 프로토콜 IP는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정확하게 '배송'하는 역할만 한다. 데이터가 안전하게 전달되었는지, 주문한 순서대로 왔는지 등 '배송'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TCP 프로토콜이 담당한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패킷 교환 방식의 문제점은 중간에 사라지는 패킷이 생긴다는 것이다. 패킷 교환 방식 이전의 회선 교환 방식이라면 데이터가 있거나, 없거나 둘 중 하나일 텐데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하니 데이터를 받긴 했는데 이상한 데이터가 올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TCP 프로토콜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받..

🖥️ CS & Network & Web/🕸️ Network

[Network] 4. IP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는 웹/HTTP/네트워트를 읽고 정리합니다.] IP와 패킷 IP(Internet Protocol)은 패킷을 정해진 목적지까지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규약이다. 인터넷의 모든 데이터는 패킷(packet)이라는 조각으로 나뉘어 이동한다. 패킷은 소포를 의미하는 단어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쉽게 쪼갠 모습이 소포와 비슷해 붙여진 이름이다. 데이터를 패킷으로 쪼개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을 패킷 교환 방식이라고 한다. 만약 무거운 데이터를 통째로 보내려고 하면 회선에 문제가 생길 시 다시 전송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패킷으로 쪼개 정보를 전달한다면 전송 중에 잘못된 부분만 다시 보내면 되어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 패킷은 최적의 경로를 찾아가기에 특정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

🖥️ CS & Network & Web/🕸️ Network

[Network] 3. URL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는 웹/HTTP/네트워크를 읽고 정리합니다.] URL URL은 프로토콜과 도메인 등 여러 요소를 합친 결과물이다. URL이란 유저가 원하는 웹 자원을 정확히 찾아가기 위해 특정 웹 자원을 구별할 수 있는 고유한 주소다. URL은 웹 사이트 뿐만 아니라 HTML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 인터넷에 존재하는 모든 자원을 나타낸다. 주소를 쓸 때 시, 군, 구를 쓰듯이 URL도 순서가 있다. 가장 먼저 URL의 맨 앞 부분은 해당 자원을 얻기 위한 통신 규약,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지를 나타낸다. 웹 통신에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HTTP로, 대부분의 URL이 HTTP로 시작하는 것이 바로 이 이유 때문이다. 요즘에는 HTTP보다 보안이 강화된 HTTPS를 사용하고 있다. 위에서 말한 것처..

🖥️ CS & Network & Web/🕸️ Network

[Network] 2. 네트워크 개념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는 웹/HTTP/네트워크를 읽고 정리합니다.] 네트워크란? 그물을 뜻하는 net과 work의 합성어로 그물처럼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 것을 말한다. 우리가 다루는 컴퓨터 네트워크는 컴퓨터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망'을 뜻한다. 현재는 컴퓨터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노트북, IPTV, 각종 기기들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는 것 또한 컴퓨너 네트워크라고 부른다. 네트워크는 가상의 무언가 같지만, 실제로 2대 이상의 기기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는 연결하는 회선이나, 전기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치 등 매체의 역할이 필요하다. LAN, WAN 먼저 네트워크도 급이 있다. (!) 전 세계를 아우르는 거대한 1개의 네트워크 밑에 중간급의 네트워크 여러 개, 더 작은 네트워..

🖥️ CS & Network & Web/🕸️ Network

[Network] 1. 웹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는 웹/HTTP/네트워크를 읽고 정리합니다.] 웹? 웹(WWW, World Wide Web, web)은 1989년 소프트웨어 공학자 팀 버너스리에 의해 고안되었다. 이 때는 전 세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양이 다르고, 물리적으로도 거리가 있어 지금처럼 인터넷을 사용해 자료를 구하는 것처럼 자료를 찾기가 쉽지 않았다. 웹이 탄생하면서 방대한 양의 문서를, 범세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인터넷을 이용해 개개인의 컴퓨터 사양과 무관하게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게 되었다. 웹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구성 요소들이 있다. 크게 URL, HTTP, HTML 3가지다. 예를 들어 햄버거를 먹고 싶을 때, 맥도날드의 위치를 찾아 그 곳으로 가고, (이제는 키오스크지만) 직..

썸머몽
'🖥️ CS & Network & Web/🕸️ Network'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