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수란?
재사용 가능한 코드 조각을 함수라고 부른다.
def thing() :
print('Hello')
print('Fun')
thing()
print('Zip')
thing()
이렇게 했을 때 thing을 함수라고 볼 수 있다.
파이썬에는 두 종류의 함수가 존재한다.
1) 내장 함수: 파이썬의 한 부분으로 제공됨 (ex. print() input()...)
2) 우리가 정의하고 사용하는 함수
또한 파이썬에서 함수는 인자를 입력 받고, 계산을 하고 결과를 반환하는 역할을 하며함수를 정의할 때는 def 예약어를 사용한다.
big = max('Hello world')
>> w
■ 할당
■ 인자
■ 결과
여기서는 인자의 가장 큰 값을 주는 max 함수가 사용됐다.
(반대 개념으로 min이 있으며 이외에도 자료형을 변환시켜주는 함수도 있는데,
int() / float() 의 경우 문자열 -> 정수형으로 반환할 수 있다. str()은 정수형 -> 문자열로 반환시켜준다.)
def 키워드와 괄호, 선택적인 매개 변수를 적어 이렇게 함수를 만들 수 있는데...
그렇다면 인자(Argument)란 무엇인가?
인자는 함수를 호출할 때 입력값으로 전달하는 값을 말하며 함수 이름 다음 괄호 안에 사용된다.
매개변수란 함수 정의에 사용되는 변수로,
특정 함수 호출에서 함수 안의 코드가 인자에 접근하기 위한 손잡이 같은 개념이다.
아래 코드에서 매개변수는 lang에 해당한다.
def greet(lang) :
if lang == 'es' :
print('Hola')
else :
print('Hello')
반환값이란 인자를 받아 계산된 값을 말하는데 이 반환을 위해 아래와 같이 return 키워드를 사용한다.
return 구문은 함수 실행을 끝내고 함수의 결과를 반환한다고 보면 된다.
def greet() :
return "Hello"
함수 정의에서 한 개 이상의 매개 변수를 정의할 수 있는데,
인자의 순서에 따라 매개 변수와 매칭이 되니 유의해야 한다.
def addtwo(a, b) :
added = a + b
return added
x = addtwo(3, 5)
print(x)
여기서 매개 변수는 a, b이며 3, 5가 인자다.
식에 들어가는 놈을 매개 변수, 실질적인 값을 인자로 보면 된다.
Void란?
가끔 코드 짜다가 보이는 놈인데... 함수가 값을 반환하지 않는 것을 void 함수라고 한다. (=non-fruitful)
값을 반환하는 함수는 fruitful 함수라고 한다. 코드를 잘못 짰었을 때 봤던 것 같다 ^_^;
끝으로 함수의 코드가 너무 길어지거나 복잡해지면 논리 상 나누어서 각 조각을 함수 안에 넣는 걸 추천하며,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것은 라이브러리화 하여 동료와 공유해도 좋다고 한다.
(근데 라이브러리화는 어떻게 하는 거지)
'🥧 Python > 💭 네이버 부캠 모위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부스트캠프: 모두를 위한 파이썬] 6장. 문자열 (0) | 2023.03.09 |
---|---|
[네이버 부스트캠프: 모두를 위한 파이썬] 5장. 루프와 반복문 (0) | 2023.03.02 |
[네이버 부스트캠프: 모두를 위한 파이썬] 3장. 조건부 실행 (0) | 2023.03.01 |
[네이버 부스트캠프: 모두를 위한 파이썬] 2장. 변수, 표현식, 명령문 (0) | 2023.02.24 |
[네이버 부스트캠프: 모두를 위한 파이썬] 1장. intro (0) | 202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