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수, 표현식, 문장
상수: 숫자, 글자, 문자열과 같은 고정 값으로 숫자 외의 상수는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로 표시한다.
변수: 이름이 주어진 메모리. 변수의 이름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다.
x = 12 일 때 변수 x에 12를 저장한 거라고 보면 된다.
x = 100 으로 바꾸면 변수 x에 12가 아니라 100이 저장되는 거다.
파이썬에서는 변수 이름에 규칙이 있다.
1. 글자나 밑줄로 시작
2. 글자, 숫자, 밑줄로 이루어짐 (특수문자 안됨 당연함)
3. 대소문자 구분
또 이름을 정할 때는 변수값과 연관 지어 정하는 게 좋다.
누가 코드를 봤을 때 아 이게 이거구나, 라고 알 수 있게끔.
📌 연산자, 데이터 타입 및 타입 변환
표현식을 알아보자.
숫자 표현식에서 기억하면 좋은 점은 나누기, 거듭제곱, 나머지다.
특히 나누기와 나머지는 알고리즘에도 잘 쓰이는데, 나누기는 / 나머지는 % 이다.
소수점 없이 나누려면 // 으로 쓰면 된다.
자료형을 알아보자.
파이썬에는 변수, 문자, 상수라는 자료형이 있다.
파이썬은 정수와 문자열의 차이를 알고 있다. 숫자에서 +는 덧셈이지만 문자열에서는 연결을 뜻한다.
그래서 어떤 연산은 금지 되어 있는데, 바로 자료형이 다른 것들은 연산이 되지 않는다. (ex. 문자열 + 1)
자료형은 type() 함수를 써서 알아볼 수 있다.
먼저 숫자는 정수와 부동 소수점 수 2가지 자료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외에도 있긴 하다.)
정수 = float / 부동 소수점 수 = float
표현식에 정수와 부동 소수점 수가 있으면 암묵적으로 정수를 부동 소수점으로 변환하며
int()와 float() 로 자료형을 변환할 수 있다.
문자열에서도 int()와 float()를 사용해 수로 변환할 수 있다.
단 문자열에 숫자가 없을 때는 작동하지 않는다. 당연함.
input() 함수를 알아보자.
이 함수는 멈춰서 사용자의 입력값을 받고 이를 반환한다.
주석
파이썬에서의 주석은 '#'이다.
코드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왜 이 코드를 썼는지, 임시적으로 코드를 비활성화 하는 등 여러 상황에 사용된다.
혼자 처음 알고리즘을 풀었을 땐 나만 알아보면 된다는 생각으로 변수를 a, b, c 이렇게 무작위로 두었는데 나중에 풀이를 돌아 보니 알아보는데 시간이 걸렸다. 지금은 변수를 뭘로 정할지 연상하면서 푸는 게 유일한... 재미다. ^_ㅠ
'🥧 Python > 💭 네이버 부캠 모위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부스트캠프: 모두를 위한 파이썬] 6장. 문자열 (0) | 2023.03.09 |
---|---|
[네이버 부스트캠프: 모두를 위한 파이썬] 5장. 루프와 반복문 (0) | 2023.03.02 |
[네이버 부스트캠프: 모두를 위한 파이썬] 4장. 함수 (0) | 2023.03.01 |
[네이버 부스트캠프: 모두를 위한 파이썬] 3장. 조건부 실행 (0) | 2023.03.01 |
[네이버 부스트캠프: 모두를 위한 파이썬] 1장. intro (0) | 202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