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나만의 카카오 성격 유형 검사지를 만들려고 합니다.
성격 유형 검사는 다음과 같은 4개 지표로 성격 유형을 구분합니다. 성격은 각 지표에서 두 유형 중 하나로 결정됩니다.
4개의 지표가 있으므로 성격 유형은 총 16(=2 x 2 x 2 x 2)가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FMN"이나 "TCMA"와 같은 성격 유형이 있습니다. 검사지에는 총 n개의 질문이 있고, 각 질문에는 아래와 같은 7개의 선택지가 있습니다.
- 매우 비동의
- 비동의
- 약간 비동의
- 모르겠음
- 약간 동의
- 동의
- 매우 동의
각 질문은 1가지 지표로 성격 유형 점수를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한 질문에서 4번 지표로 아래 표처럼 점수를 매길 수 있습니다.
이때 검사자가 질문에서 약간 동의 선택지를 선택할 경우 어피치형(A) 성격 유형 1점을 받게 됩니다. 만약 검사자가 매우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할 경우 네오형(N) 성격 유형 3점을 받게 됩니다.
위 예시처럼 네오형이 비동의, 어피치형이 동의인 경우만 주어지지 않고, 질문에 따라 네오형이 동의, 어피치형이 비동의인 경우도 주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 선택지는 고정적인 크기의 점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 매우 동의나 매우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3점을 얻습니다.
- 동의나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2점을 얻습니다.
- 약간 동의나 약간 비동의 선택지를 선택하면 1점을 얻습니다.
- 모르겠음 선택지를 선택하면 점수를 얻지 않습니다.
검사 결과는 모든 질문의 성격 유형 점수를 더하여 각 지표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성격 유형이 검사자의 성격 유형이라고 판단합니다. 단, 하나의 지표에서 각 성격 유형 점수가 같으면, 두 성격 유형 중 사전 순으로 빠른 성격 유형을 검사자의 성격 유형이라고 판단합니다.
질문마다 판단하는 지표를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survey와 검사자가 각 질문마다 선택한 선택지를 담은 1차원 정수 배열 choic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검사자의 성격 유형 검사 결과를 지표 번호 순서대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제한사항
- 1 ≤ survey의 길이 ( = n) ≤ 1,000
- survey의 원소는 "RT", "TR", "FC", "CF", "MJ", "JM", "AN", "NA" 중 하나입니다.
- survey[i]의 첫 번째 캐릭터는 i+1번 질문의 비동의 관련 선택지를 선택하면 받는 성격 유형을 의미합니다.
- survey[i]의 두 번째 캐릭터는 i+1번 질문의 동의 관련 선택지를 선택하면 받는 성격 유형을 의미합니다.
- choices의 길이 = survey의 길이
- choices[i]는 검사자가 선택한 i+1번째 질문의 선택지를 의미합니다.
- 1 ≤ choices의 원소 ≤ 7
📌 입출력 예
📌 풀이
알아야 하는 것
- split
- Math.abs
- Object.keys, Object.values
구할 것
- R, T, C, F, J, M, A, N 유형별로 몇 점이 있는지 조사한다.
- 먼저 types라는 객체에 유형을 키로, 0점을 값으로 설정한다.
- survey 배열을 순회하면서 왼쪽, 오른쪽으로 쪼개어 왼쪽 유형과 오른쪽 유형을 만든다.
- 점수는 4점을 기준으로 절대값을 사용해 계산할 수 있다.
- score는 선택된 점수에서 4점을 뺀 값에 절대값을 씌우면 성격 유형 점수가 된다.
- 예를 들어 "AN"에서 5를 골랐을 때 유형과 관계 없이 1점을 얻게 된다.
- 이는 5-4가 1이어서, 3-4가 -1이어서 절대값을 씌우면 1점이 되기 때문이다.
- 따라서 A와 N을 나눠 놓고, 만약에 이 1점이 choice 배열에서 5여서 1점인 건지, 3점이어서 1점인 건지 조건문으로 계산해준다.
- 5를 골랐기 때문에 오른쪽 유형에 score 1점을 주면 된다.
- 계산하고 types의 키와 값만 가져온다.
- 각 유형이 2개씩 붙기 때문에 for문으로 전개 시 2개씩 증가해준다.
- 키값만 순회할 때, 현재 성격 유형의 점수와 다음 성격 유형의 점수 중 더 큰 것을 answer에 추가해준다.
- 바로 앞뒤로 비교하기 때문에 다음은 하나 더 건너 뛰어서 계산해주면 된다.
- 이렇게 키값을 전부 순회하고 나면 더 큰 점수의 성격 유형이 완성된다.
객체를 사용해 풀었던 재미있는 문제였다!
function solution(survey, choices) {
let answer = '';
const types = { R: 0, T: 0, C: 0, F: 0, J: 0, M: 0, A: 0, N: 0 };
for (let i = 0; i < survey.length; i++) {
const [leftType, rightType] = survey[i].split('');
const score = Math.abs(choices[i] - 4);
if (choices[i] < 4) {
types[leftType] += score;
} else if (choices[i] > 4) {
types[rightType] += score;
}
}
const resultType = Object.keys(types);
const resultScore = Object.values(types);
for (let i = 0; i < resultType.length; i += 2) {
if (resultScore[i] >= resultScore[i + 1]) {
answer += resultType[i];
} else {
answer += resultType[i + 1];
}
}
return answer
}
'⚙️ 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레벨 2 : 튜플 (1) | 2023.12.27 |
---|---|
[JavaScript]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레벨 2 : 귤 고르기 (1) | 2023.10.31 |
[JavaScript]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레벨 2 : 괄호 회전하기 (1) | 2023.10.19 |
[JavaScript]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레벨 2 : 영어 끝말잇기 (0) | 2023.10.17 |
[JavaScript]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레벨 2 : 캐시 (0) | 2023.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