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문제
인하대학교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기 위해서는, 전공평점이 3.3 이상이거나 졸업고사를 통과해야 한다. 그런데 아뿔싸, 치훈이는 깜빡하고 졸업고사를 응시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치훈이의 전공평점을 계산해주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전공평점은 전공과목별 (학점 × 과목평점)의 합을 학점의 총합으로 나눈 값이다.
인하대학교 컴퓨터공학과의 등급에 따른 과목평점은 다음 표와 같다.
A+ | 4.5 |
A0 | 4.0 |
B+ | 3.5 |
B0 | 3.0 |
C+ | 2.5 |
C0 | 2.0 |
D+ | 1.5 |
D0 | 1.0 |
F | 0.0 |
P/F 과목의 경우 등급이 P또는 F로 표시되는데, 등급이 P인 과목은 계산에서 제외해야 한다.
과연 치훈이는 무사히 졸업할 수 있을까?
📌 입력
20줄에 걸쳐 치훈이가 수강한 전공과목의 과목명, 학점, 등급이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 출력
치훈이의 전공평점을 출력한다.
정답과의 절대오차 또는 상대오차가 10−4 \(10^{-4}\) 이하이면 정답으로 인정한다.
📌 제한
- 1 ≤ 과목명의 길이 ≤ 50
- 과목명은 알파벳 대소문자 또는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띄어쓰기 없이 주어진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모든 과목명은 서로 다르다.
- 학점은 1.0,2.0,3.0,4.0중 하나이다.
- 등급은 A+,A0,B+,B0,C+,C0,D+,D0,F,P중 하나이다.
- 적어도 한 과목은 등급이 P가 아님이 보장된다.
📌 예제 입출력
📌 풀이
알아야 하는 것
- Number.toFixed(): 숫자를 고정 소수점 표기법으로 표시한다.
- 괄호 안에 자릿수를 입력하면 그 자릿수만큼 소수점을 갖는다. (입력하지 않으면 소수점을 남기지 않는다.)
- 소수점보다 큰 수가 들어올 경우에는 0으로 채워진다.
- 반환 시 문자열로 반환한다.
- 객체의 프로퍼티에 접근하는 2가지 방법 (점 표기법, 괄호 표기법)
- 점 표기법: 프로퍼티 식별자로 오로지 알파벳만 가능
- 괄호 표기법: 문자열/문자열을 참조하는 변수로 프로퍼티 식별 가능 (✅)
구할 것
- 전공과목별 1)학점 * 2)과목 평점 의 합 / 학점의 총합을 출력해야 한다.
- 등급이 P인 경우는 제외한다.
- 등급을 키로, 과목 평점을 밸류로 객체를 생성한다.
- 주어진 입력값의 형태가 [과목명 학점 등급]이기 때문에 구조 분해 할당으로 쪼개어준다.
- 이 때 input을 for문으로 순회하지 않고 for... of문으로 접근해 통째로 순회한다.
- 매 줄마다 과목명, 학점, 등급을 쪼개 가져오는 것
- P일 때는 진행하지 않는다 === P가 아니면 진행한다로 바꾸어 코드를 작성한다.
- 처음에는 P일 때 splice로 인덱스를 잘라주려고 했는데 그렇게 하니까 복잡해졌다;
- 학점은 문자열로 주어져서 연산할 수 없기에 Number로 감싸주고 grades[grade]로 등급에 맞는 과목 평점을 가져와 곱해준다. 한 줄마다 반복되는 이 값을 totalGrade에 추가하고, 학점으로 나눠야 하기 때문에 나눌 몫인 totalNum도 똑같이 score의 sum을 구한다.
- 나눈 값을 출력하면 된다.
- 꼭 toFixed()를 쓰지 않아도 제출은 된다.
const fs = require("fs");
const filePath = process.platform === "linux" ? "/dev/stdin" : "./input.txt";
let input = fs.readFileSync(filePath).toString().trim().split("\n");
let grades = {
"A+": 4.5,
A0: 4.0,
"B+": 3.5,
B0: 3.0,
"C+": 2.5,
C0: 2.0,
"D+": 1.5,
D0: 1.0,
F: 0.0,
};
let totalGrade = 0;
let totalNum = 0;
for (const line of input) {
const [sub, score, grade] = line.split(" ");
if (grade !== "P") {
totalGrade += Number(score) * grades[grade];
totalNum += Number(score);
}
}
console.log((totalGrade / totalNum).toFixed(6));
728x90
'⚙️ 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백준 코딩테스트 10866. 실버 4 : 덱 (0) | 2023.07.31 |
---|---|
[JavaScript] 백준 코딩테스트 8978. 실버 5 : 올림픽 (0) | 2023.07.28 |
[JavaScript] 백준 코딩테스트 1157. 브론즈 1 : 단어 공부 (0) | 2023.07.26 |
[JavaScript] 백준 코딩테스트 7568. 실버 5 : 덩치 (0) | 2023.07.25 |
[JavaScript] 백준 코딩테스트 1193. 실버 5 : 분수 찾기 (0) | 2023.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