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당신은 폰켓몬을 잡기 위한 오랜 여행 끝에, 홍 박사님의 연구실에 도착했습니다. 홍 박사님은 당신에게 자신의 연구실에 있는 총 N 마리의 폰켓몬 중에서 N/2마리를 가져가도 좋다고 했습니다.
홍 박사님 연구실의 폰켓몬은 종류에 따라 번호를 붙여 구분합니다. 따라서 같은 종류의 폰켓몬은 같은 번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구실에 총 4마리의 폰켓몬이 있고, 각 폰켓몬의 종류 번호가 [3번, 1번, 2번, 3번]이라면 이는 3번 폰켓몬 두 마리, 1번 폰켓몬 한 마리, 2번 폰켓몬 한 마리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때, 4마리의 폰켓몬 중 2마리를 고르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6가지가 있습니다.
- 첫 번째(3번), 두 번째(1번) 폰켓몬을 선택
- 첫 번째(3번), 세 번째(2번) 폰켓몬을 선택
- 첫 번째(3번), 네 번째(3번) 폰켓몬을 선택
- 두 번째(1번), 세 번째(2번) 폰켓몬을 선택
- 두 번째(1번), 네 번째(3번) 폰켓몬을 선택
- 세 번째(2번), 네 번째(3번) 폰켓몬을 선택
이때, 첫 번째(3번) 폰켓몬과 네 번째(3번) 폰켓몬을 선택하는 방법은 한 종류(3번 폰켓몬 두 마리)의 폰켓몬만 가질 수 있지만, 다른 방법들은 모두 두 종류의 폰켓몬을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 예시에서 가질 수 있는 폰켓몬 종류 수의 최댓값은 2가 됩니다.
당신은 최대한 다양한 종류의 폰켓몬을 가지길 원하기 때문에, 최대한 많은 종류의 폰켓몬을 포함해서 N/2마리를 선택하려 합니다. N마리 폰켓몬의 종류 번호가 담긴 배열 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2마리의 폰켓몬을 선택하는 방법 중, 가장 많은 종류의 폰켓몬을 선택하는 방법을 찾아, 그때의 폰켓몬 종류 번호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제한사항
- nums는 폰켓몬의 종류 번호가 담긴 1차원 배열입니다.
- nums의 길이(N)는 1 이상 10,000 이하의 자연수이며, 항상 짝수로 주어집니다.
- 폰켓몬의 종류 번호는 1 이상 200,000 이하의 자연수로 나타냅니다.
- 가장 많은 종류의 폰켓몬을 선택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인 경우에도, 선택할 수 있는 폰켓몬 종류 개수의 최댓값 하나만 return 하면 됩니다.
📌 풀이
알아야 하는 것
- map.size() : 요소의 개수를 반환한다.
구할 것
- 각 종류 별 갯수
예를 들어 nums = [3, 1, 2, 3]일 경우 최대 2마리를 가져갈 수 있고, 종류는 1/2/3 3가지를 가져갈 수 있다.
최대 2마리를 가져갈 수 있으니 가져갈 수 있는 최대 종류 또한 2마리가 된다. (1+2 / 2+3 / 1+3)
nums = [3, 3, 3, 2, 2, 4]라면 최대 3마리를 가져갈 수 있고, 종류는 2/3/4 3가지를 가져갈 수 있다.
nums = [3, 3, 3, 2, 2, 2]라면 역시 최대 3마리를 가져갈 수 있고, 종류는 2/3 2가지를 가져갈 수 있다.
1) Map을 선언한다.
2) nums 배열을 순회하면서 map에 키값과 밸류값을 설정하려고 한다.
3, 1, 2, 3을 예로 들었을 때 각 숫자들이 키가 되고 배열 내 각 숫자들의 갯수가 밸류가 된다.
map안에 각 숫자들을 키로, 기본적으로 1을 값으로 설정한다.
단 3과 같이 중복될 경우는 해당 숫자의 값을 가져와 1을 더해줘 중복을 카운트한다.
현재 map은 3(2), 1(1), 2(1)로, size는 3이 된다.
이 때 조건에서 가져갈 수 있는 폰켓몬 갯수가 배열 길이의 반이라고 했다.
만약 map의 사이즈가 배열 길이의 반보다 커도 배열 길이의 반만큼 가져갈 수 있으므로 답은 nums.length / 2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반대로 map의 사이즈가 배열 길이의 반보다 작다면 종류는 최대 map의 사이즈만큼 가져갈 수 있으므로 이 조건에서는 map.size를 반환해야 한다.
function solution(nums) {
let map = new Map();
for (let i = 0; i < nums.length; i++) {
if (map.has(nums[i])) {
map.set(nums[i], map.get(nums[i]) + 1);
} else {
map.set(nums[i], 1);
}
}
if (nums.length / 2 <= map.size) {
return nums.length / 2;
} else {
return map.size;
}
}
이전에 Set으로 풀었던 문제를 키값 쌍으로 지어 다시 풀어봤다.
결국 여기서 map.size까지 가는 게 값이 중요한 게 아니라 키의 갯수가 중요하므로 중복만 제거해주면 돼서 Set을 쓰는 게 훨씬 간단하다고 생각된다. Set에 대해서도 공부해봐야겠다.
'⚙️ 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레벨 1 : 체육복 (0) | 2023.06.14 |
---|---|
[JavaScript]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레벨 3 : 베스트앨범 (0) | 2023.06.13 |
[JavaScript]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레벨 2 : 의상 (0) | 2023.06.11 |
[JavaScript]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레벨 1 : 완주하지 못한 선수 (0) | 2023.06.09 |
[JavaScript]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레벨 1 : 대충 만든 자판 (0) | 2023.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