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딩테스트

[JavaScript]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레벨 1 : 비밀지도

썸머몽 2023. 4. 18. 23:18
728x90

문제 및 제한사항

 

네오는 평소 프로도가 비상금을 숨겨놓는 장소를 알려줄 비밀지도를 손에 넣었다. 그런데 이 비밀지도는 숫자로 암호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해독해야 한다. 다행히 지도 암호를 해독할 방법을 적어놓은 메모도 함께 발견했다.

 

  1. 지도는 한 변의 길이가 n인 정사각형 배열 형태로, 각 칸은 "공백"(" ") 또는 "벽"("#") 두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2. 전체 지도는 두 장의 지도를 겹쳐서 얻을 수 있다. 각각 "지도 1"과 "지도 2"라고 하자. 지도 1 또는 지도 2 중 어느 하나라도 벽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벽이다. 지도 1과 지도 2에서 모두 공백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공백이다.
  3. "지도 1"과 "지도 2"는 각각 정수 배열로 암호화되어 있다.
  4. 암호화된 배열은 지도의 각 가로줄에서 벽 부분을 1, 공백 부분을 0으로 부호화했을 때 얻어지는 이진수에 해당하는 값의 배열이다.

**제한사항**

입력으로 지도의 한 변 크기 n 과 2개의 정수 배열 arr1, arr2가 들어온다.

- 1 ≦ n ≦ 16

- arr1, arr2는 길이 n인 정수 배열로 주어진다.

- 정수 배열의 각 원소 x를 이진수로 변환했을 때의 길이는 n 이하이다. 즉, 0 ≦ x ≦ 2n - 1을 만족한다.

 

풀이 방법

 

 

이 문제는 비트 연산을 묻는 문제라고 한다. 0과 1이 있을 때 or로 표시한 부분이 마지막 그림의 #이 된다.

즉 01001 | 11110 >> 31 >(2진수)> 11111 이 되기 때문에 1 = # 으로 마지막 그림의 첫 줄이 모두 #이 나온 것이다.

arr1과 arr2의 요소를 비트 연산으로 계산하여 어떤 수를 찾아내고, 그 수를 2진수로 만든 후 1은 #으로, 0은 ' ' 으로 출력되게 하면 된다.

 

테스트 1의 예제를 해보면 모두 입력값 n의 길이만큼 원소의 길이가 나오는데,

테스트 2의 예제 같은 경우에는 어떤 원소의 길이는 n의 길이인 6인 반면 어떤 길이는 5가 나오곤 한다.

이 경우를 맞춰주기 위해 padStart 메서드를 사용했다. 해당 메서드는 첫 번째 인자만큼 두 번째 인자로 채워준다.

만약 해당 메서드를 모른다면 맨 아래 코드 (다른 분이 푸셨음)처럼 while문으로 풀어도 된다.

 

그렇게 모든 길이를 맞춰준 후에는, 0과 1로 이루어진 것들을 # 또는 ' ' 으로 바꿔야 한다.

이를 위해 map을 사용했는데 이 부분이 제일 고민이었다; 어떻게 바꿔야 할지 몰라서...

map을 쓰고 나면 배열화 되어 있기 때문에 이걸 join으로 묶어주고 각각을 배열에 넣어주었다.

 

처음 접한 카카오 문제였는데 확실히 다르구나...... 약간 좌절했다.

 

코드

function solution(n, arr1, arr2) {
  let answer = [];

  for (let i = 0; i < arr1.length; i++) {
    let wall = (arr1[i] | arr2[i]).toString(2);
    let wallsplit = wall.padStart(n, '0').split("");
    let map = wallsplit.map((v) => (v === "1" ? "#" : " "));
    answer.push(map.join(""));
  }

  return answer;
}
function solution(n, arr1, arr2) {
const answer = [];

for (let i = 0; i < n; i++) {
    const strLine = (arr1[i] | arr2[i]).toString(2)
    const arrLine = strLine.split("")
    while (arrLine.length < n) {
        arrLine.unshift("0")
    }
    const decLine = (arrLine.map(i => i === "1" ? "#" : " ")).join("")
    answer.push(decLine)
}
return answer;
}
728x90